![]() |
![]() ![]() |
![]() |
|||||||||||||||||||||||||||||||||||||||||||||||||||||||||||||||||||||||||||||||||||||||||||||||||||||||||||||||||||||||||
또 다른 방법으로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수면무호흡증 발생 위험 요소를 바탕으로 한 진단입니다. 과거의 여러 연구를 통하여 특정 요소를 가지고 있는 경우 수면 중 무호흡의 발생 가능성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그러한 요소로는 성별이 남성인 경우, 고령, 과도한 체중 및 높은 체질량 지수 (body mass index, BMI >28 인 경우, 체질량 지수 = 체중(kg)÷키(m)제곱)가 있습니다. 목둘레도 수면무호흡증의 발생과 높은 상관성을 보입니다. 목둘레가 남성의 경우 43 cm 이상, 여성의 경우 38 cm 이상일 경우 폐쇄성수면무호흡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게 증가합니다.
그 외에도 갑상선기능저하증이나 말단비대증과 같은 내분비계 이상이 있는 경우 수면 중 무호흡이 나타날 수 있고 흡연, 과도한 음주 및 진정제 복용도 수면무호흡의 위험을 증가시키므로 이러한 상태를 가지고 있다면 이차적으로 수면무호흡증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수면무호흡증의 정확한 진단을 위한 최선의 방법은 수면다원검사이지만 이러한 검사법은 시간과 비용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 또한 보완하기 위하여 많은 종류의 설문지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설문지들은 반복적인 연구를 통하여 높은 확률로 수면무호흡증을 예측할 수 있는 진단력이 검증되어 있습니다.
대표적인 설문지에는 Epworth Sleepiness Scale(ESS)이 있습니다. 총 24점 중 합산 점수가 10점 이상일 경우 과도한 주간 졸림증이 있는 것으로 판단합니다. 8 가지 가상의 상황에서 졸릴 가능성을 0-3 까지의 점수로 매기게 됩니다. 과도한 주간 졸림증이 다른 원인에 의하여 발생할 수도 있으므로 실제 폐쇄성수면무호흡증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검사가 필요합니다.
앱워스 주간졸리움 설문지
당신의 최근 생활 가운데 다음과 같은 상황이 되었을 때 잠이 드는지, 아니면 그렇지 않은 지에 대하여 아래의 숫자로 대답해주세요. 질문한 상황을 경험하지 못하였더라도 그러한 상황이라면 어떻게 될 것인지를 상상하여 답해주세요.
0 = 잠든 적이 없다.
1 = 가끔 잠이 든다.(경도) 2 = 자주 잠이 든다.(중증도) 3 = 대부분 잠이 든다.(고도)
STOP-BANG 설문지
보다 더 간단한 형태의 설문도 있습니다. 이름도 재미있는 STOP-BANG 설문입니다. 이는 앞서 말씀드린 수면무홉증의 발생 위험성을 증가시키는 요인을 가지고 있는 지를 체크하는 설문이 되겠습니다.
기본 질문 중 2 개 이상의 항목에 해당하는 경우 수면무호흡증의 위험성이 있으며 이와 함께 추가적인 질문 중 한 개 이상에 해당할 경우 중등도 이상의 수면무호흡증이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첫 번째 카테고리는 코골이와 수면중 무호흡에 관한 5개의 문항으로, 총 점수가 2점 이상 이면 양성으로 판단합니다. 계산법은 1번 문항에 “예”라면 1점, 2번 문항에 “대화하는 소리보다 더 크다”와 “아주 시끄럽다”라면 1점, 3번 문항 “거의 매일곤다”와 “일주일에 3~4일정도”라면 1점, 4번 문항에 “예”면 1점, 5번 문항에 “거의 매일 듣는다”와 “일주일에 3~4일정도”라면 2점을 부여하여 총 합계를 구합니다.
두 번째 카테고리는 주간 졸림 및 피곤함의 정도에 관한 4개의 문항으로 역시 점수가 2점 이상이면 양성으로 판단하게 됩니다. 계산법은 6번 문항에서 “거의 매일 피곤함을 느낀다”와 “일주일에 3~4일정도 피곤함을 느낀다”라면 1점, 7번 문항은 “거의 매일 피곤함을 느낀다”와 “일주일에 3~4일정도 피곤함을 느낀다”라면 1점, 8번 문항이 “예”라면 1점을 부여하여 합산합니다.
세 번째 카테고리는 고혈압을 진단 받았는지 혹은 체질량 지수 (body mass index, BMI)가 30 kg/m2 이상인지에 대한 문항이며 둘 중 하나만 해당되면 양성으로 판단합니다. 이러한 3개의 카테고리 중 2개 이상에서 양성을 보일 때 폐쇄성수면무호흡의 고위험군으로 판정하게 됩니다.
베를린 설문지
피츠버그 수면의 질 지표 설문지
또 하나의 대표적인 설문검사로 피츠버그 수면의 질 지표가 있습니다. 이 설문은 총 7 개의 영역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7 개의 영역은 주관적인 수면의 질, 수면까지 걸리는 시간, 총 수면 시간, 수면의 효율, 수면장애 존재 여부, 수면제 복용 여부 및 낮 동안의 장애 여부입니다. 0-3 까지의 점수로 답변을 하게 되는데 총점 21 점 중에서 6 이상의 점수가 산출되는 경우 수면의 질이 매우 낮은 것으로 판단하며 이는 수면 중 무호흡증 존재 여부와 높은 상관성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다음의 질문에 대해 최근 1 달간의 수면 습관을 중심으로 답변해 주시기 바랍니다. 지난 달 당신의 경험 중 대부분을차지했던 일을 위주로 답변해 주시기 바랍니다. 모든 질문에 빠짐없이 답변해 주시기 바랍니다.
다음의 질문에 대해 가장 가까운 답변에 표시하십시오. 모든 문항에 답변해주시기 바랍니다.
5. 지난 달 동안 얼마나 자주 다음의 문제로 잠드는데 어려움을 겪으셨습니까?
이상의 방법을 통한 검사는 연구를 통하여 높은 확률로 수면무호흡증을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이 수면다원검사와 같이 수면무호흡증을 확진할 수 없음을 기억해야합니다. 동일한 증상이 다른 질환에 의하여서도 발생할 수 있으므로 지나치게 자가 진단에 의존하는 것은 잘못된 진단으로 인하여 병을 키우고 합병증을 유발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설문지를 바탕으로 한 결과는 반드시 임상적인 검사 결과와 합쳐져야 정확한 진단에 이를 수 있게 됩니다. 따라서 위의 설문을 바탕으로 수면무호흡증이 의심되신다면 수면을 전공한 치과의사가 있는 치과를 방문하시어 임상적인 검사를 받아 병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이에 따라는 효과적인 치료를 받으시기를 권합니다.
|